하드디스크를 우분투에 마운트 하는 법.
기본적으로 other locations - 새 볼륨 (/dev/sda2) 를 더블 클릭 해주는 것만으로도 마운트해 줄 수 있다.
하지만 단점은 파이썬 코드로 이 디렉토리에 접근하여 파일을 저장하고 싶은데
'새 볼륨'이라는 한글 명칭때문에 접근할 수 없었다.
윈도우에서 하드디스크 안의 파일에 접근하는 것처럼 (ex. D:\where\you\want)
우분투에서 하려면 마운트를 해야하고 그 방법을 아래에 적어둔다.
마운트에는 일시적인 마운트와 영구적인 마운트가 있는데 일시적 마운트부터 적은다.
[1] 일시적 마운트
터미널을 오픈 후
1. sudo mkdir /mnt/D
2. sudo mount /dev/sda2 /mnt/D
3. df -h
4. (사용 후 마운트 해제) sudo umount /mnt/D
설명:
1. D라는 이름은 사용자가 편한 이름으로 변경 가능
2. 내 시스템에서는 HDD가 sda2이다. 사용자 환경에 맞게 확인해서 변경
3. 이 명령은 현재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나열하고, /mnt/D 또는 다른 마운트 지점에 /dev/sda2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4. 마운트를 해제하면 /mnt/D 디렉토리는 비어있게 된다.
5. 마운트가 성공적으로 되었다면 cd /mnt/D 에서 ls 명령을 했을 때 하드디스크 안에 있는 파일들이 보일 것이다.
반대로 언마운트 하게 되면 ls 명령을 했을 때 하드디스크 안의 파일들이 보이지 않는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알고 싶은 사람은
/dev 와 /mnt 차이에 대해 검색해보면 좋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마운트하게 되면 4번 코드를 하지않더라도
컴퓨터를 재부팅 한 후에는 하드디스크가 자동적으로 언마운트된다.
따라서 영구적인 마운트를 원한다면, 아래 코드를 시도해야 한다.
[2] 영구적 마운트
1. sudo gedit /etc/fstab 또는
sudo nano /etc/fstab
파일의 끝 줄에 다음 코드를 추가.
2. /dev/sda2 /mnt/D ntfs defaults 0 0 또는
/dev/sda2 /mnt/D ext4 defaults 0 0
3. sudo mount -a
4. 재부팅 후 확인
설명:
1. 편집기로 나는 gedit이 편하다. nano쓸 사람은 nano 쓰자
2. 자기 하드디스크가 ntfs 형식인지 ext4 형식인지가 중요하다.
리눅스에서 특정 디스크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 유형을 확인하려면 blkid 명령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sudo blkid /dev/sda2 명령 후,
TYPE="ntfs" 인지 확인
내 시스템에서는 이 하드디스크가 sda2이다. 각자 시스템에 맞는 sd 이름을 쓰자.
감사합니다.
'공부 >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Julia] 로컬 패키지 만드는 법 (0) | 2024.07.09 |
---|---|
[zeroMQ] F77_ZMQ Linking using CMake (7) (0) | 2024.07.04 |
[zeroMQ] F77_ZMQ Linking using gfortran (6) (0) | 2023.01.15 |
[zeroMQ] F77_ZMQ 설치 (5) (0) | 2023.01.03 |
[zeroMQ] FZMQ 설치 (4) (0) | 2023.01.03 |
댓글